본문 바로가기

[내과질환센터]320

비만 아동 비타민D 부족하면 지방간 위험하다 비만 아동 비타민D 부족하면 지방간 위험하다 비만인 소아와 청소년에게 비타민D가 부족할 경우 지방간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이상,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을 높이는 다양한 합병증의 증가로 이어져 소아 청소년기의 비만은 주요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비만의 합병증 중 하나인 비알콜성 지방간은 체지방의 과도한 증가와 인슐린의 저항성, 산화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인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비알콜성 지방간은 제때 치료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염증이 진행되어 간경변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또한 지방간염이 있는 비만 소아나 청소년에게 혈액 내 비타민D의 농도가 낮다면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고 간.. 2016. 2. 15.
고지혈증 비만과 술이 원인! 고지혈증 비만과 술이 원인! 고지혈증이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 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이처럼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 지질혈증 이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고지혈증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고지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름진 식사, 잦은 음주와 흡연 등으로 고지혈증이 발생하면 혈관 내에 지방 침전물이 쌓여 혈관이 막히고 혈관 벽에 염증이 생기거나 두꺼워져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등 위험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 2016. 2. 5.
호흡기 질환 주의사항 호흡기 질환 주의사항 방학과 명절이 있고 예쁜 눈이 내리는 신나는 계절인 겨울. 하지만 겨울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이 발생해 마냥 즐겁기만 한 계절이 아닌데요. 따라서 겨울을 잘 보내기 위해서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겠습니다. 겨울철 호흡기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차고 건조한 공기 때문인데요. 찬 공기는 코와 기관지를 자극하고 기침과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며, 건조한 공기는 기도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어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대한 정상적인 호흡기 방어능력을 떨어뜨려 호흡기 질환에 취약한 상태로 만듭니다. 또한 차고 건조한 공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기도 수축을 유발하기 때문에 기존에 천식이 있었다면 겨울철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가을부터는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 2016. 2. 2.
흡연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부른다 흡연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부른다 매년 되풀이되는 결심이지만 2016년 새해에도 가장 많이 결심하는 1위가 금연이라고 하는데요. 많은 흡연자들이 담뱃값 인상으로 인해 금연을 결심하기도 하지만 건강상의 문제 때문에라도 금연을 해야 합니다. 특히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흡연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 금연의 결심을 지켜야 하겠습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주로 기관지가 좁아지고 폐조직이 파괴되는 이유로 숨이 차는 호흡기 질환인데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가장 큰 문제는 만성적으로 계속 진행되는 질환으로 이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아직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번 손상된 호흡기관은 손상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으며 일단 이 질환이 발생하면 더 이상의 진행을 막고 남아있는 기능들.. 2016. 1. 28.
지방간, 예방과 조기검진 중요! 지방간, 예방과 조기검진 중요! 간질환은 여전히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특히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40~50대 가장을 쓰러뜨리는 주범이 간암 및 간질환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는 잦은 술자리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중년 남성들에게 간질환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지방간은 눈에 띄는 증상이 있지 않고, 다른 간질환에 비해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럴 경우 더 큰 병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지방간에 예방과 조기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방간은 어떤 한 질환이라기보다 어떤 원인에 의해 간에 과다한 지방이 축적된 것이므로 그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하는데요. 비만이 원인이면 운동이나 식이조절을 통해 체중 감소를 하면 좋아지고, 당뇨병에 .. 2016. 1. 25.
고혈압 환자의 일상 지침 10가지 고혈압 환자의 일상 지침 10가지 나이가 들면 혈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혈압이 서서히 높아지는데요. 이 때문에 중장년을 지나면서 고혈압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40세 이상이 되면 여러 가지 병이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병의 예방을 위해서도 무척 중요한 시기인데요. 특히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다른 어떤 때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습관으로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을 예방해야 하는데요. 따라서 스스로 관리하는 일상 지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침 기상 : 추운 날씨에 기상할 때, 아침 공기의 보온이 필요합니다. 특히 아침 배뇨 시 따뜻한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목욕 : 따뜻한 물로 목욕하도록 하고, 절대로 탕 안에 오래 있거나 사우나를 하지 않습니다. 또한 냉탕과.. 2016.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