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닉센터]/탈장 충수염65 맹장염 초기증상이 있을까? 맹장염 초기증상이 있을까? 우리의 몸은 이상이 생길경우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이상 신호를 무시하고 증상을 그대로 방치하다 결국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는데요 즉 질병의 초기증상을 잘 파악하는 것이야 말로 치료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맹장염의 경우 갑자기 찾아오는 복부 통증으로 병원을 찾게 되는데 이는 맹장염 초기증상을 쉽게 생각하고 지나쳐 이미 염증이 어느정도 진행된 경우입니다 따라서 맹장염 초기증상을 알고 대채하는 자세가 필요한데요 맹장염 초기증상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복부 통증입니다 처음에는 명치 쪽에 체한 듯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그 후에는 배꼽 주변에서 우측 하복부 쪽으로 통증이 이동하게 됩니다 일단 배쪽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방치하기 보다는 상태를 유심히.. 2016. 8. 18. 탈장 수술 후 회복 당기려면 탈장 수술 후 회복 당기려면 소아, 성인 가리지 않고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인 탈장은 수술 말고는 별다른 수가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수술을 결정이 중요합니다. 소아와 성인의 탈장이 발생되는 원인은 다르지만 수술 방법은 동일합니다. 소아의 경우 태어날 때 고환이나 지지대가 내려오는 서혜부의 탈장구멍이 제대로 막히지 않으면서 나타나는 증상이 대부분이며 성인의 경우에는 복강내의 벽이 약해지면서 구멍이 생겨 장이 탈출하게됩니다. 탈장 수술은 생명을 좌지우지할만큼 응급 수술은 아니지만 소아의 경우 통증이나 증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있는데요, 그러다 장기간 탈장을 방치하게 되는 경우 장기가 괴사되 장기를 절제해야하기도합니다. 탈장은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진 않으나 만지면 통증이 .. 2016. 8. 4. 소아맹장염 알아채기 어려워 소아맹장염 알아채기 어려워 맹장염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소아맹장염은 무려 약 9,000여건에 이른다고 하는데 성인보다는 적은 숫자지만 합병증 발생은 훨씬 더 큰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서는 복통, 구토,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도지만 소아는 성인처럼 증상을 정확하게 표한하기 어려워 쉽게 알아차리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복통을 호소하면서 열이 심하게 난다면 소아맹장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소아맹장염은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5세 미만의 경우 복막염까지 진행된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응급실에서도 오진이 많게 됩니다 소아의 경우 충수돌기가 성인보다 길고 벽이 얇기 때문에 천공이 쉽게 일어나고 되고 장을 .. 2016. 7. 21. 탈장 합병증 방지하려면? 탈장 합병증 방지하려면? 일반적으로 탈장은 성인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요 탈장은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소아탈장과 40세 이후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성인 탈장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발병 부위에 따라서는 서혜부탈장, 대퇴부탈장, 제대탈장, 반흔탈장, 횡격막탈장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중에서는 서혜부탈장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탈장은 특별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하진 않고 손으로 밀어넣거나 자리에 누우면 자연스럽게 들어가기 때문에 치료를 미루기 쉽습니다. 하지만 탈장과 환원이 반복되다보면 구멍이 더 커지거나 새로운 탈장이 생기기도하고 장의 일부가 괴사하기도합니다. 탈장은 약물이나 운동 등으로 자연치유되지 않으며 수술만이 유일한 치료방법입니다. 탈장은 자리를 이탈한 장기가 고정되는 감돈과 이로인해 장기가 .. 2016. 6. 30. 충수염 치료시기 놓치지 마세요 충수염 치료시기 놓치지 마세요 충수염은 대장과 소장이 만나는 부위에 있는 충수 돌기에 염증이 생겨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많은 분들이 맹장염으로 알고 있기도 하는데요. 주로 만성보다는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충수염은 나이가 많으신 분들보다도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병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왜 젊은 층에서 더 많이 발병하는지에대한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에 해당하는 연령이라면 질병의 증상을 잘 알아두고 있어야 갑작스럽게 질환이 발병해도 당황하지 않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충수염의 초기는 사람마다 증상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명치나 복부 중앙에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소화가 잘 안되는 듯한 증상이 이 나타납니다. 식욕이 없어지거나 변비, 설사가 나타나기도합니다... 2016. 6. 8. 소아탈장 어떻게 알아볼까? 소아탈장 어떻게 알아볼까? 유아기는 어른들의 손길이 많이 가는 시기입니다. 몸에 이상이 느껴진다고해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어른들의 주의깊은 관심이 중요합니다. 유 소아기 어린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소아탈장은 사타구니 부분에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혹이 있거나 튀어나온 혹이 들어가지 않고 아이가 울고 보채고, 토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호자 입장에서는 아직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수술자체에 거부감이 클 수 있지만 소아탈장은 소아 외과 의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수술입니다. 소아탈장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감돈이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탈한 장기를 제자리에 옮겨주고 구멍을 메워주는 수술을 시행해야합니다. 소아탈장의 경우 감돈의 위험성이 더 많기 때문에 소아.. 2016. 5. 11.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