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시경센터]/대장내시경266

위내시경으로 검진부터 수술까지 위내시경으로 검진부터 수술까지 우리나라 성인층의 위암의 발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김치처럼 염장한 음식이나 염도가 높은 국물 음식을 즐겨 섭취하는 식습관과도 관련이 있겠죠. 특히 직장인이라면 회식자리에서 자주 먹는 불에 그을린 육류와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안해 암 발병에 더욱 취약해지는데요.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위암의 초기증상은 자각이 매우 어렵다는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내시경을 통해 정기적으로 위장질환이 있는지 꾸준히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나 속쓰림, 식후 상복부 불쾌감, 소화불량 등이 있는 분들이나 이전에 위궤양이나 십이지장 궤양이 있던 분들이라면 꼭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단순하게 검사를 위한 내시경이었지만, 이제는 내시경 장비의 발.. 2016. 2. 25.
과식이 부르는 위장질환 과식이 부르는 위장질환 현대인에게 과식은 나쁜 존재이지만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오랜 시간 업무로 인해 공복감을 견뎌낸 자신에게 주는 선물과 같은 필요한 행위인데요. 하지만 잦은 과식과 운동부족은 다양한 위장질환, 특히 위식도 역류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누구나 식사 후 트림을 하며 섭취한 음식이 일시적으로 식도로 올라오는 역류를 경험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심해지면 위산 자극에 의해 식도 점막에 손상이 일어나 그때부터는 가슴쓰림과 위산 역류 등의 불편한 증상을 느낄 수 있는데요. 이는 위식도 역류질환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나 위 사이의 근육 중 하나인 하부식도 괄약근이 느슨해져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는 병으로, 위내시경 검사에.. 2016. 2. 16.
조기 위암, 내시경으로 치료하자! 조기 위암, 내시경으로 치료하자! 위암은 대장암과 더불어 국내의 높은 암 발생률을 자랑하는 흔한 질환인데요. 그만큼 한국의 위암이 완치될 가능성은 약 73%로 치료수준이 월등하게 높습니다. 특히 위를 잘라내지 않고 치료가 가능한 위내시경 치료가 유리하게 적용되는데요, 하지만 모든 위암 환자에게 위내시경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내시경 치료가 가능하려면 조기 위암, 그중에서도 암세포가 림프절로 전이되지 않은 상태여야 합니다. 또 암 크기가 작고, 위궤양이 없으며 위점막을 깊게 침범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 뒤따릅니다. 따라서 조기에 위암을 발견하여 완치할 수 있는 위내시경을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인은 내시경 검사 주기를 2년에 한 번 정도로 생각하면 되는데요. 보통 40세부터 내시.. 2016. 2. 11.
위궤양의 진단과 치료 위궤양의 진단과 치료 위궤양은 위벽의 점막이 손상을 입어 움푹 패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특히 위 점막의 아래쪽까지 깊이 패고, 크기가 0.5cm 이상인 경우를 위궤양이라고 합니다. 점막이 파이면서 배가 아프거나 속이 쓰리고, 소화가 안 되거나 더부룩한 증상을 느낍니다. 또 자주 체하거나 배의 특정 부분이 묵직한 느낌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궤양 부위의 출혈이 생기면서 토혈이나 검은 변, 빈혈 증상이 나타나는 상황이 아니라면 대부분 위궤양의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는데요. 따라서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궤양을 발견하고 조기치료를 해야 하겠습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궤양이 발견되면 조직 검사와 헬리코박터균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게 되는데, 드물게는 위암도 궤양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2016. 1. 29.
대장내시경 검사 전 주의사항 대장내시경 검사 전 주의사항 최근 대장암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대장내시경 검사를 고민하는데요. 하지만 대장내시경 검사는 시작 전 지켜야 하는 주의사항이 있으니 잘 알아보고 검사를 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젊은층의 대장암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40대 이상부터는 2년에 한 번 정도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을 권하고 있는데요. 이미 대장용종이 발견된 경험이 있거나 가족력, 염증성 장질환 등의 대장 질환이 있다면 1년에 한 번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대장내시경 검사는 고통이 따르기 때문에 수면내시경 검사로 진행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수면내시경은 고통을 덜어주는 장점이 있지만 고령 환자와 폐기능 장애 환자 및 급성질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수면내시경.. 2016. 1. 13.
짜게 먹는 식습관 위암 주의! 짜게 먹는 식습관 위암 주의! 한국인이 좋아하는 음식을 살펴보면 맵거나 짠맛이 나는 자극적인 요리가 많은데요. 찌개나 국과 같은 음식 문화와 젓갈이나 장류와 같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소금, 즉 나트륨의 섭취가 많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짜고 매운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위 건강에 해로운 것은 물론, 위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소금의 섭취량이 늘어나게 되면 위의 만성 질환의 진행이 빨라지고, 염분 농도가 높으면 위 점막에 쉽게 손상이 가고, 위암의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와 같은 균이 위 점막에 더 쉽게 붙을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위염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소금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다양한 증상의 위염과 헬리코박터균으로 인해 위암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인데요. .. 2016. 1. 6.